top of page

LS

  • 2020년 12월 27일
  • 1분 분량

실내공기환경 다운로드




실내공기환경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글입니다. 2


지난 200여년 동안 실내공간내에서 사람이 주요한 단일 오염원이라는 가정이 실내공기환경과 관련된 환기개념에서 지배적인 철학으로 작용해 왔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이후부터 기존 환기개념에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되는데, 즉 환기가 독성물질이나 감염물질의 희석이 아닌 쾌적을 위해 필요하다는 생각이 대두된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오염원의 대상이 인체에서 인체와 건물로 오염원에 대한 고려가 전환되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건축재료만을 사용함으로써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건축자재로 인한 실내공기오염이 오늘날 검증되지 않은 수많은 신자재들이 실제 건물에 적용되고, 그것이 실내공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으로 치명적일 수 있는 오염물질들을 방출한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3-3-2 주요국가의 환기기준


(1) ASHRAE 환기기준


ASHRAE에서는 1973년 ASHRAE Standard 62 1973에서 다양한 거주조건하에서의 최소환기량과 권장량을 설정한 이후, 흡연구역 및 흡연여부의 판단, 실내오염증가 문제 등 여러 요소에 관한 추가검토 요구에 따라 몇번의 개정작업을 거쳐 에너지소비와 실내오염문제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ASHRAE Standard 62 1989를 제시하고 있다. ASHRAE Standard 62 1989에서는 전반적인 환기기준을 높이는 대신 흡연시와 비흡연시의 구분을 없애고 일괄적인 환기기준을 제시하면서 흡연라운지와 같이 흡연전용실의 경우에는 다른 실의 3배에 가까운 높은 환기기준(30㎖/s˙人)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용도의 특성에 따라서 필요환기량의 비중을 달리 제시하고 있는데 디스코텍, 바, 칵테일 라운지와 같이 많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미용실과 같이 화학물질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곳, 병실과 같이 허약자가 거주하는 곳 등의 시설에 높은 환기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실의 예상 최대밀도를 제한하여 그 이상의 과밀실의 경우는 환기기준설정에서 배제하였다. 그러나, 건축관련 신자재의 급속한 개발과 사용, 그리고 최첨단의 생활 및 사무기기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거주자가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기회가 빈번해짐에 따라 점점 더 건물이 실내공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원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환기기준에 반영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으로 되어가고 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실내공기환경

파일이름 : 실내공기환경.hwp

키워드 : 실내공기환경

자료No(pk) : 16154100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도루코자기소개서 올립니다 도루코리빙 합격자 자기소개서예문 DORCO합격자소서 도루코리빙(영업)공채입사지원서 DORCO리빙채용자기소개서자소서 도루코(도르코)영업직자소서족보 업로드 G

도루코자기소개서 올립니다 도루코리빙 합격자 자기소개서예문 DORCO합격자소서 도루코리빙(영업)공채입사지원서 DORCO리빙채용자기소개서자소서 도루코(도르코)영업직자소서족보 업로드 자료 (압축파일).zip 도루코자기소개서 올립니다 도루코리빙 합격자...

 
 
 
재정이론 다운 ZJ

재정이론 다운 자료 (압축파일).zip 재정이론 재정이론 재정이론 Report -비용편익분석 사례- ◇해양심층수 개발의 비용편익분석 본 연구에서는 해양심층수라는 새로운 수자원개발사업이 사회후생(social welfare) 증진에 이바지하는 지를...

 
 
 

Comentario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자유를 찾아.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