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양요 업로드 KP
- 2020년 12월 24일
- 1분 분량
병인양요 업로드
병인양요
을사조약(을사조약) 1905년(광무 9)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 탈하기 위해 한국 정부를 강압하여 체결한 조약. 을사보호조약˙제2...
을사조약(을사조약)
1905년(광무 9)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 탈하기 위해 한국 정부를 강압하여 체결한 조약.
을사보호조약˙제2차한일협약˙을사오조약(을사오조약)˙을사늑약이라고도 한다. 제3차 러˙일협약(로일협약) 체결 을 계기로 러시아와 일본이 타협하여 일제의 한국 진출은 경제적인 면에 주력하게 되었다. 청˙일전쟁의 결과 일 본이 청국으로부터 받은 배상금은, 한국 전체의 철도부설권 을 점차 획득하고 광산˙삼림˙어업˙항시(항시)˙온천 등 에서 얻은 갖가지 이권과 함께 한국의 금수출˙상무역(상무역)까지 장악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이 무렵 만주를 점령하던 러시아에 대해 영일동맹(영일동맹)을 체결한 영국 과 일본이 철수요구를 하는 등 만주 를 둘러싼 국제적인 관계는 더욱 미묘하게 진행되었다. 1903년 4월 러시아군 이 만주의 마적과 함께 한만국경(한만국경)을 넘어서 용암포(용암포)를 강제 점령하자 일본은 즉각 러시아의 철 수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대해 러시아는 오히려 한반도를 북위 39도선을 중심으로 분할점령할 것을 제안하였 으며, 일본측에서는 이를 거부하 였다.
이러한 국제적인 상황 아래서 1904년 1월 23일 한국정부는 엄정 중립국임 을 해외에 선포하였다. 2월 6일 39도 선 문제와 만주문제로 대립하던 러시아와 일본이 국교를 단절하여 8일 뤼순 [여순]에서 첫 포성이 울렸고 이튿 날 새벽 일본군이 인천에 상륙, 서울로 입성하고 10일 대러시아 선전포고를 함 으로써 러시아와 일본은 전쟁상태 에 들어갔다. 러˙일전쟁의 개시와 함께 23일 일본의 강요로 공수동맹(공수동맹)을 전제로 한 한일의정서(한일의정서)가 체결되었다.
의정서는 6개조로서 제2,3조에 한국 황실의 안전과 독립 및 영토보전을 보증한다고 되어 있으나 기타 조항은 모 두가 주권국가의 주권을 무시한 것이었다. 러˙일전쟁 이 일본측의 승리로 기울어지자 한국정부는 5월 18일자의 조칙(조칙)으로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체결되었던 일 체의 조약과 협정을 폐기한다고 선포하는 동시에 러시아인 이나 러시아 회사에 할애하였던 이권도 전부 취소하였 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4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병인양요
파일이름 : 병인양요.hwp
키워드 : 병인양요
자료No(pk) : 160440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