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익스피어 햄릿의 작품이해 Report KC
- 2020년 12월 24일
- 2분 분량
세익스피어 햄릿의 작품이해 Report
세익스피어 햄릿의 작품이해
세익스피어의 햄릿에 대해서 여러가지 방면으로 작품을 이해하여 쓴 글입니다. 세익스피어햄릿의작품
1.서론
2.본론
2-1.원문 연구
2-2.역사 및 전기적 고찰
2-3.도덕 및 철학적 고찰
2-4.형식주의적 접근 방법을 통한 해석
2-5.심리주의적 접근 방법을 통한 해석
2-6. 신화 및 원형적 비평 방법을 통한 해석
2-7.햄릿의 성격과 햄릿이 겪었던 우울증의 원인
2-8.햄릿의 갈등과 실존적 의식
3.결론
3-1.햄릿에 나타난 세익스피어의 위대성
3-2.세익스피어에 관한 일반적 정리에 대한 평가
3-3.명성과 영향
2-1.원문 연구
비평하려는 작품 <햄릿>의 판본이 원작인지, 수정본인지부터 가리기 위한 작업이 선행되 고, 그렇게 하여 확인된 원문 중 언어의 정밀한 의미를 가려야 작품해석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불분명한 의미의 말을 언어적으로 풀어낸다. 이를테면 햄릿이 오필 리어에게 `수녀원(nunnery)으로 가라`라고 하는 대목에서 `nunnery` 가 당대에 `창녀집`이란 쌍스런 의미를 가졌다든가, 그녀의 그런 행동을 부추기는 폴로니어스를 `생선장수 (fishmonger)`라 칭한 대목에서 `fishmonger`가 당대에는 `뚜장이`라는 의미를 내포했다는 등의 언어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작품의 피상적 해석에서 맴돌지 않고, 불륜에 대한 햄릿의 복잡한 심리상태가 파악된다.
2-2.역사 및 전기적 고찰
1603년에 발표된 [햄릿]의 창작시기는 그 보다 2-3년 전이었다고 보고, 엘리자베스 여왕이 만년에 병약하여 영국 왕실의 불안한 상태를 이 작품에서 그려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역 사적 고찰을 한 연구가 더러 있다. 당시 여왕의 총애를 받다가 판단이 흐린 여왕의 심기를 건드려 처형된 에섹스 백작에 대한 백성들의 흠모를 암시하는 듯한 내용이 3막 1장에서 오 필리어가 햄릿을 두고 `풍속의 거울이며 예절의 모범인 / 만인이 우러러 보던 그 분`이라는 묘사라든가, 4막 8장에서 클러디어스가 헴릿의 신세를 두고 `그가 정신 빠진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으니`라는 연민의 말을 한 것 등으로 보아 당시 영국 왕실의 불안상을 빗대어 표현 한 것이라 주장한다.
또 [햄릿]의 중요 작중 인물들은 당시 엘리자베스여왕을 둘러싼 판박이 인물들을 본따서 창조되었다고 보는 측도 있다. 이를테면 궁정내 사랑의 인물로 오필리어, 진정한 친구로 호 레이쇼, 행동의 인물로 레이터스와 포틴브라스, 아첨의 인물로 로젠크렌츠와 길텐스턴 등이 다. 당시 영국의 왕실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보이면서도 왕실의 장자인 햄릿이 부왕이 죽은 후에 왕권을 자동승계하지 않은 이유가 쉽게 이해되지 않는데, 그건 이 작품의 원천은 11세 기 덴마크의 역사에서 따 왔으므로 장자승계제도 보다 선거제로 되어 있는 중세 덴마크 왕 위계승제도에서 이유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햄릿이 시의적절한 행동으로 풀릴 수 있는 계기를 계속 놓치게 하면서 무서운 복수극으로 치닫게 한 데는 당대 엘리자베스 시대 관객들의 기대감 충족을 위한 배려가 작용했다는 주장도 있다. 당시에는 복수를 훌륭한 예술로 보는 대중심리가 있었고, 예술적 묘미가 있는 복수에는 일정한 예절과 의식이 따라야 한다는 기대감이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보면 [햄릿]은 복수극의 기교적 요건을 갖추기 위해 교묘히 짜여져 해석의 모호성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없지 않다.
2-3.도덕 및 철학적 고찰
햄릿은 당대의 도덕률을 이상적 가치로 믿은 이상주의자로 그 도덕률을 어긴 자들에 대한 증오와 배신감으로 괴로워하면서도 과감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함이 더 큰 비극을 불러온 이야기이다. 그러나 주인공의 우유부단이 바로 도덕적 복잡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된다. 당시 영국의 기사도 정신은 부정에 대한 과감한 징벌을 요구하는 데 반해, 무르익은 지성으로 내장한 철학과 용서와 화해를 가르치는 기독교교리가 강하게 그의 행동을 규제하므로 내부적인 갈등으로 일관한 것으로 본다. 이렇게 보면 햄릿의 고민 은 중세에서 근세로 바뀌는 과도기에서 겪는 과도기적 가치관의 혼란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 되기도 한다.
2-4.형식주의적 접근 방법을 통한 해석
문학은 예술이므로 배경적 지식으로 의미파악을 하기보다 어떻게 예술적으로 표현되었는가를 우선적 관심사로 삼고, 작품자체의 분석을 통해 표현된 방식을 고찰하면 미적 효과 뿐 아니라 작품의 의미도 저절로 밝혀진다는 주장하에 대두된 비평방법이 형식주의 비평이고, 전통적 비평에 대한 반기를 들고 1930년대부터 대두되었다하여 신비평이라고도 한다. [햄 릿]을 형식주의 비평방법으로 분석해보기 위해서는 어떤 예술적 기교를 썼는가가 관심사가 우선 관심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세익스피어 햄릿의 작품이해
파일이름 : 세익스피어 햄릿의 작품이해.hwp
키워드 : 세익스피어,햄릿의,작품이해
자료No(pk) : 16139308
Comments